카테고리 - 기타
현고학생부군신위 제사 지방 쓰는 법 알려주세요!
좋아요
- 답변일
- 2025-04-04
- 조회수
- 1,743회
- 좋아요
- 15회
안녕하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설 차례 지방 쓰는 방법 올바른 작성 방법 알려드릴게요
지방의 가장 첫 글자는 \'나타날 현(顯)\'자입니다.
이어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신령의 자리로 설치된 장소라는 뜻) 순으로 씁니다.
제주와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妣),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 자와 고(高) 자를 앞에 붙이는데요. 남편은 \'현벽\'으로 써주면 되는 반면, 아내는 현을 붙이지 않고 \'망실\' 혹은 \'고실\'이라고 씁니다. 형은 \'현영\', 형수는 \'현형수\', 동생은 \'망제\' 또는 \'고제\', 자식은 \'망자\' 또는 \'고자\'라고 써주면 됩니다.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 벼슬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 나라에서 받은 호칭을 쓰는데요.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습니다.
마지막으로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씁니다.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설 차례 지방 쓰는 방법 올바른 작성 방법 알려드릴게요
지방의 가장 첫 글자는 \'나타날 현(顯)\'자입니다.
이어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신령의 자리로 설치된 장소라는 뜻) 순으로 씁니다.
제주와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妣),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 자와 고(高) 자를 앞에 붙이는데요. 남편은 \'현벽\'으로 써주면 되는 반면, 아내는 현을 붙이지 않고 \'망실\' 혹은 \'고실\'이라고 씁니다. 형은 \'현영\', 형수는 \'현형수\', 동생은 \'망제\' 또는 \'고제\', 자식은 \'망자\' 또는 \'고자\'라고 써주면 됩니다.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 벼슬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 나라에서 받은 호칭을 쓰는데요.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습니다.
마지막으로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씁니다.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궁금하넷 지식 BEST
![]() |
|
![]() |
|
피로회복에 아로나민골드 좋다고 유명하던데, 혹시 이거 말고도 다른 효능 없나요? 아로나민골드 효능 알려주세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5-04-04 23:03:14
현고학생부군신위 제사 지방 쓰는 법 알려주세요! : 궁금증 해결은 궁금하넷
댓글 15